에라토스테네스의 체

January 07, 2022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는 구간 [1;n][1;n] 에 있는 모든 소수들을 O(nloglogn)O(n \log \log n) 번의 연산만으로 찾아내는 알고리즘이다.

알고리즘은 매우 간단하다: 처음에는 2 와 nn 사이의 모든 수를 적는다. 그 다음 2의 적절한 배수인 모든 수를 합성수라고 표기한다 (2가 가장 작은 소수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xx 의 적절한 배수란, xx 보다 크면서 xx 로 나눌 수 있는 수를 말한다. 그 다음은, 합성수로 표기되지 않은 다음 수를 구하는데, 다음의 수는 3이 될 것이다. 이것은 3이 소수임을 의미한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3의 모든 적절한 배수를 합성수라고 표기한다. 그 다음의 표기되지 않은 수, 즉 다음 소수는 5이다. 그리고 5의 적절한 배수를 합성수라고 표기한다. 주어진 모든 수에 대해 위 과정을 반복한다.

다음 그림은 위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구간 [1;16][1; 16] 의 모든 소수를 구하는 과정을 시각화한 것이다. 보여지는 것 처럼, 어떤 수를 합성수로 표기하는 일은 꽤 자주 일어난다.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이 알고리즘의 아이디어는 다음과 같다: 만약 어떤 수보다 작은 소수가 해당 수를 나누지 못한다면, 그 수는 소수이다. 이 알고리즘에서는 각 소수들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반복하기 때문에, 하나의 소수로라도 나누어지는 수들에 대해서는 이미 모두 합성수라고 표기했다. 따라서 어떤 수가 해당 이터레이션에도 여전히 표기되어있지 않다면, 그 수보다 작은 어떠한 소수로도 나눌 수 없었다는 의미이고 따라서 이는 해당 수가 소수임을 의미한다.

구현

int n;
vector<bool> is_prime(n+1, true);
is_prime[0] = is_prime[1] = false;
for (int i = 2; i <= n; i++) {
    if (is_prime[i] && (long long)i * i <= n) {
        for (int j = i * i; j <= n; j += i)
            is_prime[j] = false;
    }
}

이 코드는 우선 0011을 제외한 모든 수들에 대해 "잠재적인 소수"라고 표기하고 합성수들을 선별하는 과정을 시작하게 된다. 이를 위해 이 알고리즘은 22 에서 nn 까지의 모든 수들에 대해 반복한다. 만약 현재 수 ii가 소수라면, 이 단계에서 i2i^2부터 시작해서 ii 의 배수인 모든 수들을 합성수라고 표기한다. 이 구현은 이미 한가지 최적화를 포함하고 있는데, 소수 ii에 대해 i2i^2 보다 작은 합성수들은 이미 ii 보다 작은 소인수를 가지기 때문에 거르지 않아도 된다. 다만 i2i^2int 형의 범위를 초과할 수 있기 때문에, 중첩된 루프문전에 long long 형을 사용하여 이를 방지해야한다.

이러한 구현을 사용하면 알고리즘은 O(n)O(n) 의 메모리와 (이는 자명하다) O(nloglogn)O(n \log \log n) 의 수행시간을 가질 것이다 (이는 자명하지 않기에, 다음 챕터에서 다룬다).

점근적 분석

이 알고리즘의 수행시간이 O(nloglogn)O(n \log \log n) 라는 것을 증명해보자. 이 알고리즘은 각 소수 pnp \le n 에 대해서 내부 루프에서 np\frac{n}{p} 번의 연산을 수행할 것이다. 따라서 다음 식을 평가해야 한다:

pn, p primenp=npn, p prime1p.\sum_{\substack{p \le n, \\\ p \text{ prime}}} \frac n p = n \cdot \sum_{\substack{p \le n, \\\ p \text{ prime}}} \frac 1 p.

두가지 사실을 상기해보자.

  • nn 보다 작거나 같은 소수들의 개수는 근사적으로 nlnn\frac n {\ln n} 이다.
  • kk번째 소수는 근사적으로 klnkk \ln k 이다 (이것은 앞의 사실로 부터 바로 유도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는 위의 식을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pn, p prime1p12+k=2nlnn1klnk.\sum_{\substack{p \le n, \\\ p \text{ prime}}} \frac 1 p \approx \frac 1 2 + \sum_{k = 2}^{\frac n {\ln n}} \frac 1 {k \ln k}.

첫번째 소수인 2를 합에서 제외했는데, 왜냐하면 k=1k = 1 인 경우, klnkk \ln k00 이고 이는 0으로 나누는 상황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이제 같은 함수를 kk 에 대해서 22 부터 nlnn\frac n {\ln n} 까지 적분하여 합을 평가하자 (이 합은 직사각형 방법을 통해 적분으로 근사될 수 있다):

k=2nlnn1klnk2nlnn1klnkdk.\sum_{k = 2}^{\frac n {\ln n}} \frac 1 {k \ln k} \approx \int_2^{\frac n {\ln n}} \frac 1 {k \ln k} dk.

피적분함수의 원시함수는 lnlnk\ln \ln k 이다. 치환과 낮은 차수의 항을 제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는다:

2nlnn1klnkdk=lnlnnlnnlnln2=ln(lnnlnlnn)lnln2lnlnn.\int_2^{\frac n {\ln n}} \frac 1 {k \ln k} dk = \ln \ln \frac n {\ln n} - \ln \ln 2 = \ln(\ln n - \ln \ln n) - \ln \ln 2 \approx \ln \ln n.

이제, 원래 식으로 돌아오면 다음과 같은 근사 식을 얻을 수 있다:

pn, p is primenpnlnlnn+o(n).\sum_{\substack{p \le n, \\\ p\ is\ prime}} \frac n p \approx n \ln \ln n + o(n).

더욱 자세한 증명은 (연산횟수의 상수항에 대해서도 더욱 자세한 평가가 필요하다면) Hardy & Wright 의 책 "An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Numbers" (p. 349)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에라토스테네스의 체의 여러 최적화 기법

이 알고리즘의 가장 큰 단점은, 메모리를 여러번 훑으면서, 오직 단일 요소만 조작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는 캐시-친화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O(nloglogn)O(n \log \log n) 에 감추어져있는 상수항은 비교적으로 크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이 알고리즘에 소비되는 메모리는 큰 nn 에 대해 병목을 초래할 것이다.

아래에 소개되는 방법들은 수행되는 연산들의 횟수와 메모리를 체감되게 줄여줄 것이다.

제곱근까지만 거르기

명백하게도, nn 까지의 모든 소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nn의 제곱근 이하인 소수들에 대해서만 거르기를 수행해도 충분할 것이다.

int n;
vector<bool> is_prime(n+1, true);
is_prime[0] = is_prime[1] = false;
for (int i = 2; i * i <= n; i++) {
    if (is_prime[i]) {
        for (int j = i * i; j <= n; j += i)
            is_prime[j] = false;
    }
}

이러한 최적화는 복잡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실제로 위의 증명을 다시 사용해보면, nlnlnn+o(n)n \ln \ln \sqrt n + o(n) 회의 연산이 필요함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로그의 성질에 의해 점근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필요한 연산의 횟수는 체감될만큼 줄어들 것이다.

홀수만 거르기

22를 제외한 모든 짝수가 합성수이기 때문에, 짝수는 확인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홀수에 대해서만 수행해도 된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알고리즘의 필요 메모리와 수행시간을 대략 절반정도 줄일 수 있다.

메모리 소비와 연산의 속도

우리는 에라토스테네스 체의 두 구현이 vector<bool> 자료구조를 사용하여 nn 비트의 메모리를 사용한다는 것에 주목해야한다. vector<bool> 는 일련의 bool 을 저장하는 정규 컨테이너가 아니다 (대부분의 컴퓨터 아키텍쳐에서는 bool은 1 바이트의 메모리를 차지한다). 이것은 vector<T> 에서 메모리 최적화를 위해 특수화된 것인데, 이것은 오직 N8\frac{N}{8} 바이트의 메모리만 소비한다.

현대의 프로세서들의 구조는 특정 비트에 직접 접근할 수 없기 때문에, 비트보다는 바이트 단위로 작업하는 것에 훨씬 효율적이다. 그래서 사실 vector<bool> 는 비트를 연속적인 큰 메모리에 저장하고, 바이트 단위로 메모리에 접근하여 비트 마스킹이나 비트 쉬프트 같은 연산을 사용하여 특정 비트를 추출하거나 조작한다.

그것 때문에 vector<bool> 에서 비트를 읽거나 쓰는 것에는 오버헤드가 크기 때문에 vector<char> (각 원소마다 1 바이트의 메모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하는 메모리는 8배 크다) 를 사용하는 경우가 빠른 경우가 많다.

하지만 에라토스테네스의 단순한 구현에 대해서는 vector<bool> 가 더 빠른것으로 밝혀졌다. 이 문제에서는 데이터를 캐시에 얼마나 빠르게 로드하느냐가 중요하기 때문에, 메모리를 적게 쓰는 것이 큰 이점을 가져다 준다. 이 (벤치마크) 에서 보여주듯, vector<bool> 를 사용하는 것이 vector<char>를 사용하는 것 보다 1.4배에서 1.7배 정도 빠르다고 한다.

bitset 도 위와 같은 고려를 해볼 수 있다. 이것은 vector<bool> 와 마찬가지로 비트들을 저장하는데 효율적인 방법인데, 그래서 이것도 오직 N8\frac{N}{8} 바이트의 메모리만을 차지한다, 하지만 원소에 접근하는 것은 조금 더 느릴 수 있다. 위의 벤치마크 에서 bitsetvector<bool> 보다 성능면에서 뒤떨어지는 것으로 나온다. 그리고 bitset 의 또 다른 단점은 컴파일 타임에 그것의 크기를 지정해줘야 한다는 것이다.

구간 체 (Segmented sieve)

이것은 항상 is_prime[1...n] 전체를 저장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곱근까지만 거르기" 최적화 기법에서 비롯된다. 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nn 의 제곱근 이하의 소수들 (prime[1... sqrt(n)])에 대해서만 저장하고, 구간을 나누고, 각 구간마다 체를 적용할 것이다.

ss 가 구간의 사이즈를 정하는 상수라고 하자, 그러면 전체 ns\lceil {\frac n s} \rceil 개의 구간이 생긴다. 구간 kk (k=0...nsk = 0 ... \lfloor {\frac n s} \rfloor) 는 구간 [ks;ks+s1][ks; ks + s - 1] 에 있는 수들을 가진다. 우리는 이 구간에 대해 차례대로 작업할 수 있는데, 다시 말해 모든 구간 kk 마다 11 에서 n\sqrt n 까지 모든 소수를 살펴보면서 체로 거르기를 수행할 것이다. 첫번째 수들을 다룰 때의 경우에 전략을 약간 수정해야 함을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우선, 구간 [1;n][1; \sqrt n] 에 속해있는 모든 소수들은 스스로를 제거하면 안된다, 그리고 0011 는 소수가 아닌 수로 표기되어야 한다. 마지막 구간을 작업할 때 마지막으로 요구되는 수 nn 은 구간의 끝에 있을 필요가 없다는 사실을 잊으면 안된다.

앞서 다루었듯, 에라토스테네스의 체의 전형적인 구현은 CPU 캐시에 얼마나 빠르게 데이터를 로드할 수 있느냐가 속도를 좌우한다. "잠재적인 소수" 구간 [1;n][1; n] 을 더 작은 구간으로 나눔으로써, 여러개의 구간을 동시에 메모리에 저장할 필요가 없어졌고, 모든 연산이 더욱 캐시-친화적이게 되었다. 따라서 더이상 캐시의 속도는 중요하지 않으므로, vector<bool>vector<char> 로 대체할 수 있고, 프로세서가 바이트단위로 읽기 쓰기를 수행하고 더 이상 개별 비트를 추출하기 위하여 비트 연산자에 의존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성능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벤치마크 가 보여주듯, vector<char> 를 사용하는 것은 이 상황에서 vector<bool> 를 사용하는 것 보다 3배 정도 빠르다. 다만 이는 아키텍쳐, 컴파일러나 최적화 수준에 따라 이는 변할 수 있기 때문에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다.

다음은 구간 체를 사용하여 nn 보다 같거나 작은 모든 소수들의 개수를 구하는 구현체이다.

int count_primes(int n) {
    const int S = 10000;

    vector<int> primes;
    int nsqrt = sqrt(n);
    vector<char> is_prime(nsqrt + 2, true);
    for (int i = 2; i <= nsqrt; i++) {
        if (is_prime[i]) {
            primes.push_back(i);
            for (int j = i * i; j <= nsqrt; j += i)
                is_prime[j] = false;
        }
    }

    int result = 0;
    vector<char> block(S);
    for (int k = 0; k * S <= n; k++) {
        fill(block.begin(), block.end(), true);
        int start = k * S;
        for (int p : primes) {
            int start_idx = (start + p - 1) / p;
            int j = max(start_idx, p) * p - start;
            for (; j < S; j += p)
                block[j] = false;
        }
        if (k == 0)
            block[0] = block[1] = false;
        for (int i = 0; i < S && start + i <= n; i++) {
            if (block[i])
                result++;
        }
    }
    return result;
}

구간 체의 수행 시간은 나누는 구간의 사이즈가 너무 작지만 않다면 일반적인 에라토스테네스의 체의 수행시간과 같다. 하지만 메모리는 O(n+S)O(\sqrt{n} + S) 로 줄어들 것이며 이것은 캐싱에 있어 더 유리한 결과를 가져온다. 반면에, 나눠진 각 구간과 [1;n][1; \sqrt{n}] 범위의 소수들간 나눗셈 연산이 있기 때문에, 구간의 크기가 작을수록 좋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상수 SS 를 선택할때는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험 결과, 일반적으로 구간의 크기를 10410^410510^5 사이로 잡았을 때 가장 좋은 성능을 얻을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특정 범위에서 소수들 찾기

때때로 RR이 매우 크지만 (예를 들어 1e121e12), 범위가 작은 구간 [L,R][L,R] (예를 들어 RL+11e7R - L + 1 \approx 1e7)에 대하여 범위의 모든 소수를 구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구간 체의 아이디어를 사용할 수 있다. R\sqrt R 까지의 모든 소수를 미리 생성해두고, 이 소수들을 구간 [L,R][L, R] 에 있는 모든 합성수들을 표시하는데 사용하면 된다.

vector<char> segmentedSieve(long long L, long long R) {
    // generate all primes up to sqrt(R)
    long long lim = sqrt(R);
    vector<char> mark(lim + 1, false);
    vector<long long> primes;
    for (long long i = 2; i <= lim; ++i) {
        if (!mark[i]) {
            primes.emplace_back(i);
            for (long long j = i * i; j <= lim; j += i)
                mark[j] = true;
        }
    }

    vector<char> isPrime(R - L + 1, true);
    for (long long i : primes)
        for (long long j = max(i * i, (L + i - 1) / i * i); j <= R; j += i)
            isPrime[j - L] = false;
    if (L == 1)
        isPrime[0] = false;
    return isPrime;
}

이 접근의 시간 복잡도는 O((RL+1)loglog(R)+RloglogR)O((R - L + 1) \log \log (R) + \sqrt R \log \log \sqrt R) 이다.

그리고 모든 소수들을 미리 생성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vector<char> segmentedSieveNoPreGen(long long L, long long R) {
    vector<char> isPrime(R - L + 1, true);
    long long lim = sqrt(R);
    for (long long i = 2; i <= lim; ++i)
        for (long long j = max(i * i, (L + i - 1) / i * i); j <= R; j += i)
            isPrime[j - L] = false;
    if (L == 1)
        isPrime[0] = false;
    return isPrime;
}

자명하게도 시간 복잡도는 더 올라간다 (O((RL+1)log(R)+R)O((R - L + 1) \log (R) + \sqrt R)). 그러나 실제로는 아주 빠르게 수행된다.

선형 수행시간을 가지는 변형 알고리즘

이 알고리즘을 선형 시간 복잡도를 가지게 변형할 수 있다. 이 접근은 Linear Sieve 아티클에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해당 알고리즘 또한 자체적인 단점을 지니고 있다.

연습문제


Profile picture

소프트웨어 개발자 권도현입니다. 문제해결을 좋아합니다.
Email: sylvesterkwon@gmail.com

© 2024, Sylvester K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