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보나치 수열

December 24, 2021

본 포스트는 e-maxx.ru/algo 의 영문 번역본인 cp-algorithms (e-maxx-eng) 를 한국어로 번역한 것입니다. e-maxx 포스트의 저자는 иванов максим 이며, cp-algorithms 포스트의 기여자는 여기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본 포스트는 CC-BY-SA-4.0 License를 따릅니다.

피보나치 수열

피보나치 수열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F0=0,F1=1,Fn=Fn1+Fn2F_0 = 0, F_1 = 1, F_n = F_{n-1} + F_{n-2}

피보나치 수열 (OEIS A000045)을 첫번째 원소부터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0,1,1,2,3,5,8,13,21,34,55,89,...0, 1, 1, 2, 3, 5, 8, 13, 21, 34, 55, 89, ...

피보나치 수열의 법칙들

피보나치 수열은 많은 흥미로운 법칙들을 가지고 있다. 다음은 그중 몇가지이다:

  • 카시니 항등식 (Cassini's identity):

    Fn1Fn+1Fn2=(1)nF_{n-1} F_{n+1} - F_n^2 = (-1)^n
  • "덧셈" 규칙:

    Fn+k=FkFn+1+Fk1FnF_{n+k} = F_k F_{n+1} + F_{k-1} F_n
  • 이전의 규칙에서 k=nk = n 일 때:

    F2n=Fn(Fn+1+Fn1)F_{2n} = F_n (F_{n+1} + F_{n-1})
  • 위를 활용하면 음이 아닌 아무 정수 kk 에 대하여, FnkF_{nk}FnF_n 의 배수임을 귀납법을 사용하여 보일 수 있다.

  • 그 역도 마찬가지로 성립한다: 만약 FmF_mFnF_n 의 배수라면, mmnn 의 배수이다.

  • 최소공배수 항등식:

    GCD(Fm,Fn)=FGCD(m,n)GCD(F_m, F_n) = F_{GCD(m, n)}
  • 피보나치 수들은 유클리드 호제법에 대한 최악의 케이스이다. (라메의 정리 (Lamé's theorem) 참조)

피보나치 부호화 (Fibonacci Coding)

우리는 피보나치 수열을 사용하여 양의 정수를 이진 부호어 (binary code word) 로 인코딩할 수 있다. 제켄도르프의 정리 (Zeckendorf's theorem)에 따르면, 모든 자연수 nn 은 고유의 피보나치 수들의 합으로 나타내질 수 있다:

N=Fk1+Fk2++FkrN = F_{k_1} + F_{k_2} + \ldots + F_{k_r}

단, k1k2+2, k2k3+2, , kr2k_1 \ge k_2 + 2,\ k_2 \ge k_3 + 2,\ \ldots,\ k_r \ge 2 를 만족해야 한다 (즉, 이 표현은 두개의 연속적인 피보나치 수들을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어떤 숫자든 피보나치 부호화를 사용하여 고유하게 인코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표현은 이 표현에 Fi+2F_{i+2} 이 사용되었다면 did_i11 인 이진부호어 d0d1d2ds1d_0 d_1 d_2 \dots d_s 1 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부호어의 끝을 나타내기 위하여 부호어의 끝에 11 이 추가될 것이다. 이것이 두개의 연속된 켜져있는 비트가 허용되는 유일한 경우임을 주목하라.

1=1=F2=(11)F2=2=F3=(011)F6=5+1=F5+F2=(10011)F8=8=F6=(000011)F9=8+1=F6+F2=(100011)F19=13+5+1=F7+F5+F2=(1001011)F\begin{align} 1 &=& 1 &=& F_2 &=& (11)_F \\ 2 &=& 2 &=& F_3 &=& (011)_F \\ 6 &=& 5 + 1 &=& F_5 + F_2 &=& (10011)_F \\ 8 &=& 8 &=& F_6 &=& (000011)_F \\ 9 &=& 8 + 1 &=& F_6 + F_2 &=& (100011)_F \\ 19 &=& 13 + 5 + 1 &=& F_7 + F_5 + F_2 &=& (1001011)_F \end{align}

정수 nn 을 인코딩하는 것은 간단한 그리디 알고리즘으로 해결할 수 있다:

  1. nn 과 같거나 작은 수를 발견할 때 까지 피보나치 수를 큰 수에서 작은 수 순으로 반복하며 탐색한다.

  2. 이 수가 FiF_i 라고 가정하자. nn 에서 FiF_i 를 뺀 후, 11 을 부호어의 i2i-2 번째 자리에 추가한다 (최하위 비트부터 최상위 비트까지 0부터 시작하는 인덱스).

  3. 나머지가 없어질 때 까지 반복한다.

  4. 끝을 나타내기 위해 부호어의 끝에 11 을 붙인다.

부호어를 디코딩하기 위해서는 먼저 끝에 붙어 있는 11 을 제거해야한다. 그리고, 만약 ii 번째 비트가 켜져 있다면 (최하위 비트부터 최상위 비트까지 0부터 시작하는 인덱스), 답에 Fi+2F_{i+2} 를 더한다.

n번째 피보나치 수 공식

피보나치 수를 차례대로 계산하다 보면 nn 번째 피보나치 수는 O(n)O(n) 에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이보다 더 빠른 방법이 존재하며, 아래에서 해당 방법을 소개할 것이다.

닫힌 형태의 표현

"비네 공식 (Binet's formula)" 으로 알려진 공식이 있는데, 실은 드 무아브르 (de Moivre) 가 먼저 발견한 공식이다:

Fn=(1+52)n(152)n5F_n = \frac{\left(\frac{1 + \sqrt{5}}{2}\right)^n - \left(\frac{1 - \sqrt{5}}{2}\right)^n}{\sqrt{5}}

이 공식은 귀납을 사용하면 쉽게 증명할 수 있지만, 생성 함수의 개념을 이용하거나 함수 방정식의 해를 구함으로써 연역할 수도 있다.

위 공식의 두번째 항의 절대값은 항상 11 보다 작고, 기하급수적으로 빠르게 감소함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첫번째 항의 값이 "거의" FnF_n 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을 수학적으로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n=[(1+52)n5]F_n = \left[\frac{\left(\frac{1 + \sqrt{5}}{2}\right)^n}{\sqrt{5}}\right]

여기서 대괄호는 가까운 정수로 반올림함을 의미한다.

이 두 공식들은 분수로 계산할 때 매우 높은 정확도를 요구하기 때문에 실제 계산에서는 거의 도움되지 않는다.

행렬 형태

다음 관계를 보이는 것은 쉽다:

(Fn1Fn)=(Fn2Fn1)(0111)\begin{pmatrix}F_{n-1} & F_{n} \cr\end{pmatrix} = \begin{pmatrix}F_{n-2} & F_{n-1} \cr\end{pmatrix} \cdot \begin{pmatrix}0 & 1 \cr 1 & 1 \cr\end{pmatrix}

P(0111)P \equiv \begin{pmatrix}0 & 1 \cr 1 & 1 \cr\end{pmatrix} 라고 하면, 다음을 얻는다:

(FnFn+1)=(F0F1)Pn\begin{pmatrix}F_n & F_{n+1} \cr\end{pmatrix} = \begin{pmatrix}F_0 & F_1 \cr\end{pmatrix} \cdot P^n

그래서 FnF_n 을 찾으려면, 행렬 PPnn 거듭제곱 하면 된다. 이것은 O(logn)O(\log n) 에 할 수 있다 (Binary exponentiation 참조).

고속배가 법 (Fast Doubling Method)

위에서 소개했던 "덧셈" 규칙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방정식을 얻을 수 있다:

F2k=Fk(2Fk+1Fk).F2k+1=Fk+12+Fk2.\begin{array}{rll} F_{2k} &= F_k \left( 2F_{k+1} - F_{k} \right). \\ F_{2k+1} &= F_{k+1}^2 + F_{k}^2. \end{array}

따라서 위의 두 방정식을 사용하면 피보나치는 다음 코드를 사용하여 쉽게 계산될 수 있다:

pair<int, int> fib (int n) {
    if (n == 0)
        return {0, 1};

    auto p = fib(n >> 1);
    int c = p.first * (2 * p.second - p.first);
    int d = p.first * p.first + p.second * p.second;
    if (n & 1)
        return {d, c + d};
    else
        return {c, d};
}

위의 코드는 O(logn)O(\log n) 시간에 FnF_nFn+1F_{n+1} 를 쌍으로 반환한다.

모듈로 p 에서의 주기성

모듈로 pp 에서의 피보나치 수열을 고려해보자. 이 수열이 주기성을 가짐을 보일 것이며, 주기는 F1=1F_1 = 1 로 시작함을 보일 것이다 (다시 말해 주기가 시작되기 전의 수는 F0F_0 가 유일하다).

모순을 통하여 수열의 주기성을 증명할 것이다. 모듈로 pp 에서의 피보나치 수열에서 처음부터 p2+1p^2 + 1 개의 쌍에 대해 고려해보자:

(F1, F2), (F2, F3), , (Fp2+1, Fp2+2)(F_1,\ F_2),\ (F_2,\ F_3),\ \ldots,\ (F_{p^2 + 1},\ F_{p^2 + 2})

모듈러 pp 에서는 pp 개의 다른 나머지만이 존재할 수 있고, 이것이 쌍을 이루면 서로 다른 p2p^2 개의 나머지쌍이 있으므로, 위의 쌍들 중 최소 두쌍이 서로 동일한 나머지를 가진다. 따라서 수열은 주기성을 가진다.

위의 쌍들 중 나머지가 동일한 두개의 쌍을 고르고 이것들을 각각 (Fa, Fa+1)(F_a,\ F_{a + 1}) , (Fb, Fb+1)(F_b,\ F_{b + 1}) 라고 하자. a=1a = 1 임을 보일 것이다. 만약 이것이 거짓이라면, 피보나치 수열의 성질에 의해 서로 동일한 이전의 쌍 (Fa1, Fa)(F_{a-1},\ F_a)(Fb1, Fb)(F_{b-1},\ F_b) 이 존재할 것이다. 그러나, 쌍을 고를 때 이미 가장 작은 인덱스를 가지는 쌍을 골랐기 때문에 이는 모순이다. 따라서 증명은 끝나게 된다.

연습 문제


Profile picture

소프트웨어 개발자 권도현입니다. 문제해결을 좋아합니다.
Email: sylvesterkwon@gmail.com

© 2024, Sylvester Kwon